|
| 아이는 어른이 아니다. by 아이슐레창동원 | 작성일 : 19.04.11 |
|
|
아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관찰’에서 시작된다.
‘사랑한다’는 말은 ‘말하지 않아도 안다’는 뜻
자기 집착이 강한 부모는 진정한 의미에서 아이를 보고 있다고 말 할 수 없다.
자기 집착이 강한 부모라는 것은 아이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는 부모이다.
자신에 대한 고민만으로도 허덕이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니 아이가 바라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다.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애정 있는 부모는 언제나 아이를 보고 있다.
그래서 평소에 아이가 주스를 맛있게 마시는
모습을 보고 아이가 주스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처럼 평소에 아이를 관찰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가 아플 때에 물어보지 않고도 주스를 내놓을 수 있다.
‘사랑한다’는 말은 ‘알고 있다’는 말이다.
아이가 ‘성공하는 아이’로 자라기 위해서는 바로 이런 애정이 필요하다.
아이를 명문대학에 보내려는 부모는 자신이 아이를 사랑한다고 생각한다.
비싼 돈을 내고 학원에 보내면서 그것을 사랑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아이를 통해서 자신의 바람을 이루려는 집착에 지나지 않는다.
자기 집착이 강한 사람은 상대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
즉 자기 집착이 강한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다.
그래서 아무리 양육에 힘써도 성공하는 아이로 자라지 못하는 것이다.
더불어서 가장 좋은 선생님의 의미도 마찬가지이다.
‘가장 좋은 ’리아는 것은 어른들이보기에 좋다는 뜻이 아니다.
‘가장 좋은 ’ 선생님이란 아이들이 바라는 것을 제공할 줄 아는 교사를 뜻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것들은 평소의 애정 어린 관찰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저서 성공하는 아이로 키우는 육아중 ...
-가토 다이조-